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고1 진로 정하기 제가 진로를 좀 정해보고 싶어요 1학기 때에는 유치원 교사였으나 딱히
제가 진로를 좀 정해보고 싶어요 1학기 때에는 유치원 교사였으나 딱히 하고 싶지 않아서 바꾸려고 하는데 무엇을 하고 싶은지 잘 모르겠어요 좀 관심있는 걸 생각해보면 저는 다른 사람들의 마음? 심리? 파악하는 걸 재밌어해서 그 쪽으로 진로가 없는지 궁금해요 이거랑 관련된 직업 추천해주세요
“유치원 교사”로 생각했다가 딱히 끌리지 않아서 다른 길을 찾고 싶으시고,
본인이 사람의 마음·심리 파악에 흥미를 느낀다 하셨네요.
이건 꽤 중요한 힌트입니다. 심리·상담 계열은 관심과 적성이 잘 맞아야 오래 할 수 있거든요.
* 심리·상담과 관련된 대표 진로
1. 심리상담사 / 상담심리사
개인·가족·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진행.
대학에서 심리학과, 상담심리학과 전공 → 석사 이상에서 자격 취득하는 경우 많음.
청소년상담사, 임상심리사 같은 국가자격증도 있어요.
2. 임상심리사
병원(정신건강의학과)에서 환자의 심리검사, 치료 보조.
심리학과 전공 + 임상심리사 자격 필요.
3.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병원, 복지관에서 심리·정신적으로 어려운 사람 지원.
사회복지학과 진학 후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과정을 거침.
4. 청소년상담사
학교나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학생/청소년 대상 상담.
청소년학, 상담심리학 전공하면 유리. 국가자격증(청소년상담사) 필요.
5. HR(인사·채용) 분야
기업에서 사람을 뽑고 평가하는 부서.
사람 성격·심리를 보는 안목이 필요하고, 심리학 전공자도 많이 진출.
* 지금부터 준비하면 좋은 공부
심리학 기초: 고등학교 선택과목에 사회·심리 관련 과목이 있으면 들어보기.
국어·사회: 글쓰기·읽기 능력이 중요 (상담 기록, 보고서 작성 등).
영어: 심리학 전공 교재는 영어가 많아서 미리 해두면 유리.
관찰력·공감 능력: 실제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훈련됨 → 친구 얘기 잘 들어주고 정리해주는 연습.
* 정리
사람의 마음·심리에 관심 많다 → 심리학·상담·임상 쪽 전공을 고려하세요.
- 전공 예시: 심리학과, 상담심리학과, 청소년학과, 사회복지학과.
- 직업 예시: 상담심리사, 임상심리사, 청소년상담사,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기업 인사(H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