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백일기도? 저희어머니가 불교를 믿으시는데 저의 이름앞으로 10만원을 내시고 백일기도 이렇게 영수증을
저희어머니가 불교를 믿으시는데 저의 이름앞으로 10만원을 내시고 백일기도 이렇게 영수증을 봤는데 불교의 백일기도는 무엇인가요?
샤머니즘에 오염되어 무속화된 기복불교에서 하는 삿된 행위이며
수족에 의한 점괘, 전조에 의한 점괘, 조짐에 의한 점괘, 해몽, 관상,
불의 헌공, 국자의 헌공, 왕겨의 헌공, 쌀겨의 헌공, 입을 통한 헌공, 피의 헌공,
사지에 의한 점술, 집터에 의한 점술, 왕족을 위한 점술,
묘지의 주술, 정령(귀신)에 대한 주술, 흙에 대한 주술, , 독에 대한 주술,
새에 의한 점술, 수명의 판단, 수호주술같은
이러한 저속한 지식에 의한 삿된 삶을 여읩니다.
혹은 수행자들이나 성직자들은 신자들이 보시한 음식을 향유하면서
기만 하고 요설하고 점괘를 보고 함정에 빠뜨려
탐욕적으로 이익을 추구하면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저속한 지식에 의한 삿된 삶을 여읩니다.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퇴옹성철의 역할 불교평론 33호 (2007.12)
‘부처님 법대로’의 기치 아래 진행된 봉암사 결사는 일상생활의 개혁뿐만 아니라
의례와 출가자의 종교적 역할에 대한 개혁을 동반했다.
성철스님은 신도들로부터 물질적 대가를 받는 기복적 의례행위를 모두 폐지했다.
나아가 봉암사 대중들은 대중공사를 통해 당시까지 관행적으로 모셔왔던
칠성탱화, 산신탱화, 신장탱화를 모두 없애버리고
불교 간판을 붙여 놓고 칠성이나 산신을 섬긴다면
그것은 순수불교가 아니라는 것이 성철스님의 지론이었기 때문이다.5)
당시까지 사찰경제를 떠받치고 있던 불공과 천도재를 과감히 폐지했다.7)
[출처]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퇴옹성철의 역할
부처님을 팔아서 먹고 사는 사람을 도적이라 한다면,
그런 사람이 사는 처소를 무엇이라고 해야 하겠습니가?
그곳은 절이 아니고 도적의 소굴, 적굴賊窟입니다.
부처님이 도적에게 팔려 있으니 도적의 앞잡이가 되는 것이지요.
딴 나라는 그만두고라도, 우리나라에 절도 많고 승려도 많지만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도적의 딱지를 면할 수 잇는 승려는 얼마나 되며,
또 도적의 소굴을 면할 수 있는 절은 몇이나 되며,
도적의 앞잡이를 면할 수 있는 부처님은 몇 분이나 되는지
우리 자신이 도적놈 되는 것은 자기 업業이라 할지라도,
천추만고 우주개벽 이래 가장 거룩하신 부처님을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소위 불공佛供한다는 것입니다.
'우리 부처님 영험하여 명命도 주고 복福도 주니 우리 부처님께 와서
세상에 바른 법을 전하여 세상사람들이 모두 바르게 살게 하라는 말입니다.
부처님 앞에서 목탁치면서 명빌고 복빌고 하는 것은 장사입니다.
바른 가르침이 무엇인지는 경전부터 공부해 나가야 합니다
부파불교시대에 주석서에 의한 가르침의 왜곡이 일어나
힌두교등 샤머니즘에 오염된 기복불교가 중국을 거쳐 전해져서
붓다의 진실한 가르침을 알기위해서는 스스로 공부해 나가야 합니다
시중의 왜곡된 내용의 불교관련 서적과 불교방송
불교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과 고정관념을 심어주니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불교에서 존재는 무명(마음이 번뇌에 오염)을 조건으로 생겨난 업식(망상,환영)으로
생겨나서 소멸하는 것(무상)이며 괴롭고 실체없어 실재하지 않는 것(무아)
무명을 조건으로 괴로움(오온=망상)이 생겨나는 것=조건적 발생의 법칙인 연기와 연생의 법(12연기법)
복을 바라며 신에게 기도,헌공,불공,보시하는 기복종교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마음과 마음작용(괴로움의 발생과 소멸의 법칙=연기법)에 대한
빠알리어 경전인 5부 니까야를 읽어나가야 되지만
니까야도 40%이상이 후대에 섞여들어온 잘못된 내용
삼법인에 어긋나는 내용인 유신견,윤회 전생같은 판타지적인 내용은 걸러가며 공부해야 함
빠알리어 공부를 해서 빠알리 원문으로 읽는게 좋지만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 월폴라 라훌라 - 교보문고

오늘 부처님께 묻는다면 | 전재성 - 교보문고

숫타니파타-붓다의 말씀 | 전재성 - 교보문고
숫타니파타-붓다의 말씀 | 『숫타니파타-붓다의 말씀』은 크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뱀의 품, 작은 법문의 품, 큰 법문의 품, 여덟 게송의 품, 피안가는 길의 품을 주제로 한 붓다의 말씀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