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가전자는 원자의 가장 바깥껍질(전자가 도는 궤도 중 가장 바깥쪽 궤도)에서 화학반응에 참여하는 전자를 말합니다. 이때 첫 궤도는 2개, 그 이후부터는 8개씩 전자가 채워집니다. 이렇게 전자가 2개, 10개, 18개, .... 인 원소들이 비활성 기체이며 가장 안정적인 상태입니다. 그래서 원자가 이온이 될 때에는 이런 안정적인 형태를 갖추기 위해 원자가전자의 수를 8개로 맞추는거고요. 이렇게 안정적으로 맞추기 위해 원자가전자가 8개가 아닌, 즉 1~7개인 경우에는 전자를 잃거나 얻는데 이때 1~3개인 경우는 주로 전자를 잃고, 4~7개인 경우는 주로 전자를 얻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