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i
>> 글 이어보기 <<
하이큐 순서 하이큐 극장판 ova 모두 합쳐서 봐야할 순서대로 나열 부탁드립니다! 이야기
잠실 서울 기념품샵 추천 이번주 주말에 서울로 여행가는데 잠실(송파구)쪽에서 놀 예정인데 잠실쪽에 서울 관련
비행기 예약 전화번호 e-티켓 확인증과 항공편 스케줄 변동 등의 안내를 받으실 수 있도록
서울역 근처 놀거리 일식집, 일본 간식 파는 곳들은 꼭 추천 부탁드려요!혼자 놀러갑니다
카본휠 장착 가능여부 21년식 첼로케인D7 타고있습니다.휠을 카본으로 바꾸고 싶어서 알리에서 찾아봤는데자전거를 잘몰라서 찾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자동차 디젤이랑 가솔린중 어떤게 더 힘이 좋나요? 쏘렌토의 경우 2.2 디젤 194마력, 2.5 가솔린 281마력이렇더라구요 이걸보고 아버지께서
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
자동차 디젤이랑 가솔린중 어떤게 더 힘이 좋나요? 쏘렌토의 경우 2.2 디젤 194마력, 2.5 가솔린 281마력이렇더라구요 이걸보고 아버지께서
쏘렌토의 경우 2.2 디젤 194마력, 2.5 가솔린 281마력이렇더라구요 이걸보고 아버지께서 가솔린보다 디젤이힘이 더 잘나오기때문에 같은 급의 힘을 내기위해서가솔린 차의 마력수가 저렇게 높은거다라고 하시더라구요그러면 스포츠카들은 왜 대부분 가솔린 차인건가요?어떤게 맞는건가요?
i
원리는 앞선 답변자분들께서 자세히 설명하셨으니
간단한 비유만 적어놓고 가겠습니다.
기관총이 두 대 있습니다.
엔진에 비유하기 위해 연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총기라고 가정하겠습니다.
A기관총은 7.65mm탄을 사용하며, 최대 연사 속도가 분당 60발입니다.
B기관총은 5.56mm탄을 사용하며, 최대 연사 속도가 분당 100발입니다.
여기서 편의를 위해 탄환의 속력이나 정확한 충격량은 배제하고
7.62mm탄 1발이 물체에 도달했을 때의 힘을 { 7 }
5.56mm탄 1발이 물체에 도달했을 때의 힘을 { 5 }
라고만 가정하겠습니다.
만약 A기관총과 B기관총이 동일한 연사 속도, 분당 30발로 발사된다고 생각해보십쇼.
A기관총은 1분동안 표적에 대해 { 7 } × 30 = 210 이라는 힘을 전달했을 것이고
B기관총은 1분동안 표적에 대해 { 5 } × 30 = 150 이라는 힘을 전달했을 것입니다.
이렇듯 동일한 연사 속도에서는 같은 시간 동안 표적에 전달한 힘은
A기관총 > B기관총
입니다.
그러나 만약 두 기관총이 각각의 최대 연사 속도,
즉 A기관총은 분당 60발, B기관총은 분당 100발로 발사된다고 생각해보십쇼.
A기관총은 1분동안 표적에 대해 { 7 } × 60 = 420 이라는 힘을 전달했을 것이고
B기관총은 1분동안 표적에 대해 { 5 } × 100 = 500 이라는 힘을 전달했을 것입니다.
이렇듯, 탄환 하나의 힘이 더 작은 총기일지라도 발사하는 간격이 짧다면(연사 속도가 높다면)
A기관총 < B기관총
처럼 결과가 달라집니다.
위 비유에서
탄환 하나의 힘 : 토크
연사 속도 : 엔진 회전 수
단위 시간 동안 표적에 전달한 힘 : 마력
A기관총 : 디젤 엔진
B기관총 : 가솔린 엔진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엔진의 힘, 즉 토크는 폭발 행정에서 발생합니다.
동일한 배기량이라면 폭발 1회에 발생시키는 힘은 디젤이 가솔린보다 큽니다.
다만 자동차는 폭발 한 번으로 차를 굴리는 것이 아니라
실린더 여러 개가 번갈아가며 촘촘하게 폭발 행정을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가속력으로 나타나는 수치는 ( {토크} × 엔진회전수 = )마력의 개념이 적절합니다.
아버지께서 디젤 엔진의 토크가 더 좋다는 것은 알고 계시지만
차량의 실제 가속력을 표현하는 수치는 마력이 더 가깝다는 점을 간과하셨나봅니다.
다만, 기관총의 예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엔진 회전수가 낮은 상태라면 디젤이 더 높은 출력을 발휘할 수 있어
시내 주행이 많거나 rpm을 높게 쓰지 않는 환경이라면
디젤 차량의 높은 토크가 더 경쾌한 가속을 만들어내기 유리하다는것 또한 사실입니다.
대신 낮은 rpm영역을 주로 사용하는 시내 주행 보다는
풀악셀을 밟는 상황, 스포츠 주행이 많은 상황 등에서 필요한 최대 출력.
최대 출력을 높이기에는 고회전이 가능한 가솔린 엔진이 유리한 것이죠.
아버님께서 '힘이 좋아 잘나간다' 라고 하신 말의 뜻을 시내 주행 수준의 조건에 한정지어 해석한다면
: '가솔린 엔진이 힘이 엔진의 저회전 구간에서는 모자르기 때문에 배기량을 높이는거다'
로 그 의미가 확장되며
아버님께서는 내연기관 엔진의 연료에 따른 성질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계신 겁니다.